현지통신원 | 커뮤니티 | 유로자전거나라투어
최근 본 투어
0
최근 본 후기
0
통신원 소식
6
제목
[EATALY] 이탈리아 와인 알베르토의 수요시음회 #.08 베네토 [Veneto]
작성자 강재원 가이드 등록일 2019-08-30
조회수 3,379

안녕하세요 이탈리아 자전거나라 가이드 강재원입니다.

 

이탈리아 지점의 미식가이자 대식가를 맡고 있습니다. 솔직히 말하자면 예민한 미식가는 아닙니다.

 

하지만 마음만 먹으면 누구보다 잘먹는 건 자신있는,  뷔페형 인간 (미)대식가에 가깝죠.

 

역시나 음식하면 빼놓을 수 없는 미식의 나라 이탈리아에 살고 있으면서 경험한 맛집 혹은 음식정보를

 

독자들에게 공유하고 싶다는 마음에 시작한  

 

 "Alberto's EATALY"

 

라는 타이틀로 현지통신원 란에 연재를 해보고자 합니다.





08. 베네토 (Veneto) 

베네토 주는 해상도시 베네치아 (Venezia) 와 로미오와 줄리엣으로 유명한 베로나 ( Verona) 가 주 도시로,  
중세와 르네상스 미술의 경계에 있던 지오토의 명화가 있는 스크루베니 예배당이 있는 도시 파도바 (Padova) , 
이탈리아 후식을 대표하는 티라미수의 본고장 트레비소 (Treviso ) , 이탈리아 발포성 화이트와인의 대명사로 유명한 도시 
프로세코 (Prosecco) 등등 한정된 시간 속에서 여행에 선택지가 되지는 못하지만, 맛과 멋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매력적인 
주가 바로 베네토 주이다. 




베네토 주( 특별히 베로나 근처) 에서는 유명한 와인이 많이 생산되는데, 화이트 와인의 대표품종 소아베 (Soave) 
지도 좌측에 그려진 "가르다 호수 ( Lago di Garda ) " 근교에서 많이 생산되는 바르돌리노 (Bardolino)  
발폴리첼라 (Valpolicella)아마로네 ( Amarone ) 까지 전세계적으로 이름을 날리고 있는 와인들이 즐비하다. 

대표적인 식전주로 음용되는 발포성 와인 프로세코 발도비아덴네 (Prosecco Valdobbiadenne) 까지 




프로세코 ( Prosecco ) 

프로세코는 이탈리아 발포성 와인의 대명사라고 할 만큼 대중적인 와인이다. 옅은 노란색을 띄는 와인이며 
과일의 향 그리고 탄산의 맛을 좋아한다면 식전주나 해산물 요리와 더할 나위 없이 잘 어울리는 술이 아닐까 싶다. 
게다가 가격까지 저렴하니 애주가 분들에게는 최고의 가성비 갑 와인이라고 소개하고 싶다.

품종은 피노 비앙코 ( Pinot Bianco) 나 피노 그리지오 ( Pinot Grigio) 를 섞어서 주로 만드는 와인




바르돌리노 ( Bardolino )

바르돌리노는 베네치아에서 생산되는 비교적 가벼운 느낌의 와인으로 소개하고 싶다. 그래서 레드와인이지만 
해산물과 잘 어울리며 실제로 가르다 호수의 물고기를 잡아다가 바르돌리노 품종의 와인을 곁들인다고 한다.
과일향과 가벼운 맛이기에 파스타와 리조또 비교적 지방이 적은 음식들과 궁합이 잘 맞고 야채요리와도 잘 어울린다. 
가볍게 들이키기 좋은 베네토 주의 와인으로 추천하고 싶다.



 

발폴리첼라 ( Valpolicella)


발폴리첼라는 크게 다섯 등급으로 나뉘어 진다. (바닥부터) 

1. Valpolicella Classico - 생산량도 제일 많고, 일상적으로 마실수 있는 데일리 와인 
2. Valpolicella Superiore - 1년 더 숙성 되면서 맛과 향, 도수도 강해지지만 그래도 데일리 와인정도로 평가 받는 와인
3. Valpolicella Superiore Ripasso - 여기서 키워드는 Ripasso 인데 이 Ripasso 란, 갓 만든 발폴리첼라 와인에다가 아마로네
를 만들고 나서 생긴 찌꺼기를 넣어주고, 다시 발효를 시키는 과정을 뜻한다. 그래서 색, 향 , 풍미등이 더 좋아지는 와인! 
4. Amarone della Valpolicella - 아래쪽에서 자세히 다루겠지만,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명주. 
당도를 극대화 시킨 늦수확 된 포도를 건조시켜서 더욱더 당도를 높여준 다음 그 당을 모두 발효시켜서
높은 도수와 드라이함 그리고 압도적인 향과 맛을 끌어내는 와인
5. Recioto della Valpoicella - 이 레치오토는 최고 등급이라고 볼 순 없고 아마로네를 만드는 과정중에 발효를 멈춰 
높은 도수와 드라이 함을 피하고 달콤한 맛을 가미한 디저트 와인

그래서 내가 어떤 와인을 먹고 싶냐에 따라서 기호에 맞게 가격에 맞게 선택하면 더 좋을 것 같다.





아마로네 ( Amarone ) 


아마로네는 위에 적어놓은 설명을 자세히 읽어보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이탈리아에서도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 있으며
역시 다른 일반 발폴리첼라 와인과는 달리 오랜 공정과정을 거쳐서 만들어 지는 와인이다.  
역시나 맛은 상대적인 것. 처음 아마로네를 접했을 때는 특유의 건조된 포도의 향이 느껴져 많은 부담감을 느꼈었는데 
(어릴때 건포도를 먹다가 체한 트라우마가 있습니다 ㅠ) 
몇번의 아마로네를 먹다보니 진한 레드와인의 매력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와인이 아마로네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시작은 어려웠지만 알면 알수록 매력적인 와인이 아닐까 생각이 되었는데 그 이유는 아래에 첨부한 사진을 보면 된다.




아마로네를 만드는 과정에서 꼭 필요한 과정 = 아파시멘토 (Apassimento ) 
수확한 포도를 반 건조시킨다음에 착즙을 하여 똑같은 포도송이에서도 한정된 양이 만들어지며 역시나 
그 맛이 깊고 진해 이런 맛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최고의 와인이라 평가 받는 아마로네

포도 수확철인 가을에 이 아파시멘토를 직접 눈으로 보고싶다는 생각이 드는 유니크한 공법이다.





소아베 ( Soave ) 

이 소아베는 베네토를 대표하는 화이트 와인으로써 대표적인 품종인 가르가네가 ( Garganega ) 를 베이스로 
다른 지역에서 생산되는 다른 포도품종을 섞어서 만드는 화이트 와인이다. 프랑스 지방에서 많이 사용하는 
샤르도네 ( Chardonnay ) 나 베르디키오 ( Verdicchio). 아부르쪼에서 사용한다고 언급했던 트레비아노 (Trebbiano) 등등 
가격대비 훌륭한 맛의 소아베 와인이 많으니 인지도는 비교적 낮지만 도전해 보기 좋은 품종이다. 

아래 첨부하는 사진자료를 보면 역시나 발폴리첼라처럼 다양한 등급의 소아베가 있다는 걸 확인 할 수 있을 것이다. 



1. 소아베 
2. 소아베 스푸만테
3. 소아베 클라시코 
4. 레치오토 소아베 
5. 소아베 슈페리오레


베네토의 대표 음식들



비골리 콘 아나트라 [Bigoli con anatra]


오른쪽에 보이는 도구는 토르키오 ( Torchio ) 라고 불리는 제면기다. 이 곳에서 만든 두꺼운 면을 비골리 ( Bigoli ) 라고 
하는데, 베네토 지방에서는 오리 육수에 면을 삶과 오리의 고기와 내장으로 만든 소스로 버무려 먹는
'빈첸초' 라는 도시의 대표 파스타.



카순첼 [ Casunziel ] 
카순첼은 위에서 보이는 베네토 주의 지도 약간 북쪽에 위치한 벨루노 ( Belluno ) 지역의 라비올리의 일종으로 
단호박이나 시금치를 넣어 만든 삶은 고기, 계피, 훈제한 리코타 치즈나 버터 등과 같이 먹는 음식이다. 



바칼라 알라 비첸티나 [ Baccala alla Vicentina ] 


북부지역 스타일의 염장 대구 요리 



페가토 디 비텔로 알라 베네치아나 [ fegato di vitello alla Veneziana ] 


북부지역 스타일의 송아지 간 요리



라디키오 [ Radicchio] 를 응용한 요리 

이 북쪽 지역. 특히나 티라미수가 시작된 도시로 알려진 트레비소 (Treviso ) 에서는 라디키오가 많이 생산되는데 
실제로 거의 모든 식당에서 라디키오와 북부에서 많이 먹는 치즈인 아시아고 (Asiago) 치즈와 고르곤졸라 ( Gorgonzola) 를
곁들여 만드는 파스타와 리조또를 메뉴에 담고 있다. 

물론 이 적갈색의 채소를 삶거나 구워서 사이드메뉴로 먹기도 한다. 특유의 쌉싸름한 맛이 매력이기에 
좋아하는 사람들은 많이들 먹는 채소라고 설명하고 싶다.

댓글수:1개

  • 최윤정 2019.08.30
    미식가이자 대식가 알베르토님, 글 항상 잘 읽고있습니다.
    와인이 너무 마시고 싶어지는 글이예요
국가별 연락처
이탈리아지점 현지연락처
  • 한국에서

    001-39-338-815-3404

    001-39-339-687-1749

  • 유럽에서

    0039-338-815-3404

    0039-339-687-1749

  • 현지에서

    338-815-3404

    339-687-1749

프랑스지점 현지연락처
  • 한국에서
    001-33-6-1871-2341
  • 유럽에서
    0033-6-1871-2341
  • 현지에서
    06-1871-2341
스페인지점 현지연락처
  • 한국에서
    001-34-600-022-578
  • 유럽에서
    0034-600-022-578
  • 현지에서
    600-022-578
영국지점 현지연락처
  • 한국에서
    001-44-798-200-7949
  • 유럽에서
    0044-798-200-7949
  • 현지에서
    0798-200-7949
독일지점 현지연락처
  • 한국에서
    001-49-6102-3528-189
  • 유럽에서
    0049-6102-3528-189
  • 현지에서
    06102-3528-189
체코지점 현지연락처
  • 한국에서
    001-420-776-830-857
  • 유럽에서
    00420-776-830-857
  • 현지에서
    776-830-857
그리스지점 현지연락처
  • 한국에서
    001-30-690-775-7688
  • 유럽에서
    0030-690-775-7688
  • 현지에서
    690-775-7688
터키지점 현지연락처
  • 한국에서
    001-90-536-866-3301
  • 유럽에서
    0090-536-866-3301
  • 현지에서
    0536-866-3301